본문 바로가기
Pi Network

[PI NETWORK] 메인넷 정식 출시! 핵심요약 그리고 파이오니어 3천만명 돌파 소식

by 그림일기(Picturediary) 2021. 12.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파이네트워크(파이코인)이 정식 출시되었습니다.
기다리다 기다리다 기린목이 되는 줄 알았고, 내년으로 연기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드디어 오늘 파이코인 메인넷이 출시가 되었습니다.

출시와 더불어 파이오니어가 3천만명이 돌파했다는 내용도 같이 전달되었습니다.
공지로 올라온 내용을 살펴 보았는데, 짧은 시간에 다 보기에는 내용이 너무 어렵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알아야할 내용만 추려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원본 출처 : https://cafe.naver.com/pinetwork/25774

 

21. 12. 29 [MAINET Enclosed Network Period]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핵심요약

  • 메인넷 이후에도 마이닝 지속
  • 파이오니어 3천만명 돌파 및 총 공급양 1,000억 PI
  • 공급 분배_800억 PI(80%) 마이닝 보상, 200억파이(20%) 코어팀 수량
  • 메인넷 채굴 보상 : 450억 파이
  • 메인넷 마이닝 공식 : M = I(B,L,S) + E(I) + N(I) + A(I) + X(B)
  • KYC 인증. 6개월의 유예기간(시작시점 아직 미정)


아래는 핵심요약분에 대해 발췌한 내용입니다.
바쁘신 분들은 형광색 부분만 읽어보시면 됩니다.
전체적인 내용은 위에 링크된 내용을 참고하세요.

메인넷 이후에도 마이닝 지속

Mainnet Supply

Supply fuels growth and incentivizes necessary contributions to the network to achieve an organically viable ecosystem. To that end, mining rewards will continue after Mainnet but will take diverse forms to incentivize different types of contributions, which will be explained in the Mining section below. In regard to supply, the undetermined supply due to the pre-Mainnet mining mechanism that optimizes for accessibility and growth of the network presents a few problems for the Mainnet phase, including unpredictability in planning, over-rewarding and under-rewarding different types of necessary contributions in the new phase, and challenges to scarcity. To address these issues, the network will shift from its pre-Mainnet supply model that is completely dependent on network behavior to the Mainnet supply model where there is a clear maximum supply.

공급은 성장을 촉진하고 유기적으로 실행 가능한 생태계를 달성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필요한 기여를 장려합니다. 이를 위해 마이닝 보상은 메인넷 이후에도 계속될 것이지만 다양한 기여 유형을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를 취할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마이닝 섹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공급과 관련하여 네트워크의 접근성과 성장을 최적화하는 메인넷 이전 마이닝 메커니즘으로 인한 미정 공급은 계획의 예측 불가능성, 필요한 다양한 유형의 과다 보상 및 과소 보상을 포함하여 메인넷 단계에 몇 가지 문제를 나타냅니다. 새로운 단계의 기여와 희소성에 대한 도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동작에 완전히 의존하는 메인넷 이전 공급 모델에서 명확한 최대 공급이 있는 메인넷 공급 모델로 이동할 것입니다.

파이오니어 3천만명 돌파 및 총 공급양 1,000억 PI

How the community can achieve continued growth and accessibility while addressing concerns about supply is one of the main factors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Mainnet token model. In addition, the undefined and unpredictable total supply makes it hard to have overall network token planning because the community as a collective and the ecosystem itself have needs to use some Pi for purposes that benefit the community and ecosystem as a whole, other than only mining rewards for individuals, as evidenced by almost every other blockchain network. Clear allocations for such collective community purposes need to be defined. Hence, given the current network size of over 30 million Pioneers and the expected volume of transactions and activities in the future, the Mainnet supply model has a clear maximum total supply of 100 billion Pi allowing incentivizations of continued growth and new contributions while removing the concerns about the unpredictability of the supply.

커뮤니티가 공급에 대한 우려를 해결하면서 지속적인 성장과 접근성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은 메인 넷 토큰 모델의 설계에서 고려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또한, 정의되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총공급량으로 인해 커뮤니티 전체와 생태계 자체가 채굴 이외의 커뮤니티와 생태계 전체에 이익이 되는 목적으로 일부 Pi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 토큰 계획을 세우기가 어렵습니다. 거의 모든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알 수 있듯이 개인에 대한 보상입니다. 그러한 집단적 커뮤니티 목적을 위한 명확한 할당이 정의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3,000만 명이 넘는 현재 네트워크 규모와 향후 예상되는 거래 및 활동 규모를 감안할 때 메인넷 공급 모델은 1,000억 Pi의 최대 총 공급량을 확보하여 공급의 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는 동시에 지속적인 성장과 새로운 기여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공급 분배_800억 PI(80%) 마이닝 보상, 200억파이(20%) 코어팀 수량

The supply distribution will honor the original distribution principle in the March 14, 2019 white paper—however much circulating supply there is in the Pi Network at a given point in time, the Pi community has 80% and the Pi Core Team has 20% of the total circulating supply of Pi. Given a total max supply of 100 billion Pi, the community will, therefore, eventually receive 80 billion Pi and the Core Team will eventually receive 20 billion Pi. The following pie chart depicts the overall distribution:

공급 분배는 2019년 3월 14일 백서의 원래 분배 원칙을 따릅니다. 주어진 시점에 Pi 네트워크에 순환 공급량이 아무리 많아도 Pi 커뮤니티는 80%, Pi Core 팀은 20%의 Pi의 총 순환 공급. 1000억 Pi의 총 최대 공급량을 감안할 때 커뮤니티는 결국 800억 Pi를 받고 코어 팀은 결국 200억 Pi를 받게 됩니다. 다음 파이 차트는 전체 분포를 보여줍니다.

The 80% of the community supply will be further divided into: 65% allocated for all past and future Pioneer mining rewards, 10% reserved for supporting community organization and ecosystem building that will eventually be managed by a Pi Foundation, a non-profit organization in the future, and 5% reserved for the liquidity pool to provide liquidity for Pioneers and developers in the Pi ecosystem. The following table depicts the community supply distribution:

메인넷 채굴 보상 : 450억 파이

커뮤니티 공급의 80%는 다시 다음으로 나뉩니다. 65%는 모든 과거 및 미래의 파이오니어 채굴 보상에 할당되고 10%는 커뮤니티 조직 및 궁극적으로 비영리 조직인 Pi 재단에서 관리하게 될 생태계 구축 지원에 할당됩니다. 미래에 그리고 5%는 Pi 생태계의 개척자와 개발자에게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유동성 풀을 위해 예약됩니다. 다음 표는 커뮤니티 공급 분배를 보여줍니다.

커뮤니티 할당
Pi 커뮤니티 분포(총 800억 파이 계획 중)
메인넷 이전의 채굴 보상
200억 파이(약)
메인넷 채굴 보상
450억 파이(약)
유동성 풀 준비량
50억 파이
재단 적립금(그랜트, 커뮤니티 이벤트 등)
100억 파이

 

메인넷 마이닝 공식 : M = I(B,L,S) + E(I) + N(I) + A(I) + X(B)

Mainnet Mining Formula

The goals of the Mainnet phase are to make further progress in decentralization and utilities, ensure stability and longevity, and retain growth and security. The new formula, as written below, incentivizes more diverse contributions of Pioneers to support these Mainnet goals while retaining the incentives to secure and grow the network. As before, it is meritocratic and expressed as the rate at which Pioneers mine Pi per hour.

M = I(B,L,S) + E(I) + N(I) + A(I) + X(B), where

M is the total Pioneer mining rate,

I is the individual Pioneer base mining rate,

B is the systemwide base mining rate (adjusted based on the available pool of Pi to distribute for a given time period),

L is the lockup reward, which is a new component of the individual Pioneer base mining rate,

S is the the Security Circle reward, which is a component of the individual Pioneer base mining rate from valid Security Circle connections the same way as in the pre-Mainnet mining formula,

E is the Referral Team reward from active Referral Team members the same way as in the pre-Mainnet mining formula,

N is the Node reward,

A is the Pi apps usage reward, and

X are new types of contributions necessary for the network ecosystem in the future, which will be determined later, but will also be designed as a multiple of B.

메인넷 마이닝 공식

Mainnet 단계의 목표는 탈중앙화 및 유틸리티에서 더 많은 발전을 이루고 안정성과 수명을 보장하며 성장과 보안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아래에 기술된 새로운 공식은 네트워크를 보호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인센티브를 유지하면서 이러한 메인넷 목표를 지원하기 위한 Pioneers의 보다 다양한 기여를 장려합니다. 이전과 같이, 그것은 성과주의이며 개척자들이 시간당 파이를 채굴하는 비율로 표현됩니다.

M = I(B,L,S) + E(I) + N(I) + A(I) + X(B)

M은 파이오니어 총 채굴율,

I는 파이오니어 기본 채굴율,

B는 시스템 전체의 기본 마이닝 속도입니다(특정 기간 동안 분배할 Pi의 가용 풀을 기반으로 조정됨),

L은 개인 파이오니어 기본 채굴율의 새로운 구성요소인 락업 보상입니다.

S는 Security Circle 보상이며, 이는 메인넷 이전 마이닝 공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효한 Security Circle 연결에서 개별 Pioneer 기본 마이닝 속도의 구성요소입니다.,

E는 메인넷 이전 마이닝 공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활동 중인 추천인 팀 구성원이 제공하는 추천 팀 보상,

N은 노드 보상,

A는 Pi 앱 사용 보상, 그리고

X는 향후 네트워크 생태계에 필요한 새로운 유형의 기여로 추후 결정될 예정이지만, B의 배수로도 설계될 예정입니다.

 

KYC 인증. 6개월의 유예기간(시작 시점 아직 미정)

The Effect of KYC on Mainnet rewards

There will be a rolling grace period of six calendar months for a Pioneer to complete KYC. Thereafter, the Pioneer loses all the Pi mined outside of the rolling 6-month window and is unable to transfer the lost Pi to the Mainnet. The retention of the mined Pi in the 6-month window continues indefinitely until they pass KYC or the KYC policy changes. Note that this KYC-window mining framework will only begin when the KYC solution is generally available to all eligible Pioneers in the future, and will be announced to the community beforehand. The six-month restriction will not be immediately in place yet when we launch the Mainnet.

KYC가 메인넷 보상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Pioneer가 KYC를 완료하는 데는 6개월의 유예 기간이 있습니다. 그 후 파이오니아는 롤링 6개월 창 밖에서 채굴된 모든 파이를 잃고 잃어버린 파이를 메인 넷으로 옮길 수 없습니다. 채굴된 Pi는 KYC를 통과하거나 KYC 정책이 변경될 때까지 6개월 동안 무기한 유지됩니다. 이 KYC 창 마이닝 프레임워크는 향후 모든 적격 Pioneer가 KYC 설루션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때에만 시작되며, 사전에 커뮤니티에 공지될 예정입니다. 메인넷을 출시할 때 6개월 제한은 아직 바로 시행되지 않을 것입니다.


메인넷이 나온 만큼 이제 더이상 파이에 대해 스캠 논란은 없을 것 같습니다.
이제, 다음 단계로 KYC 인증 및 락업 설정이 있겠네요.

집에가서 관련 내용을 더 자세하게 읽어보고 분석해봐야겠네요

반응형